Meta Music Sound Platinum T1
상태바
Meta Music Sound Platinum T1
  • 이종학(Johnny Lee)
  • 승인 2014.09.01 00:00
  • 2014년 9월호 (506호)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모든 복잡함을 넘어선 최상의 단순화

어느 스피커를 걸어도 충분한 구동력을 바탕으로, 나긋나긋하고, 디테일이 좋은 음이 나온다. 무엇보다 반응이 빨라, 어떤 음이든 걸리적거리거나 애매한 대목이 없다. 그러면서 풍부한 질감과 뉘앙스가 있어서, 들을수록 매력을 느끼게 한다. 과연 이 스피커가 이 정도 수준이었나 깜짝 놀랄 정도였다.

요즘 하이엔드 오디오 쪽의 유행을 보면, 제일 중요한 항목이 바로 신호 전달 경로의 최단화, 즉 일체의 가감이 없이 빠른 전송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영어로 쓰면 ‘Straight Wire With Gain’인데, 즉 입력단에서 출력단까지 최단 거리를 추구하되, 그 과정에서 볼륨 조절 정도나 개입하는 것이다. 이것은 꼭 프리앰프만 해당되지 않고, 음의 입구에서 출구까지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하면 좋겠다.
물론 이렇게 만들어도 메이커마다 음이 다른 것은, 결국 부품의 선별이나 최종 튜닝에서의 판단 등 여러 물리적, 환경적 요소가 개입되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만난 메타 뮤직 사운드의 플래티넘 T1이라는 프리앰프는 내가 아는 한 가장 빠른 신호 경로를 구축하고 있다. 더 이상 줄이려고 해도 줄일 수 없는 경지다. 즉, 입력단에 진공관을 사용하고, 그 진공관을 컨트롤하는 최소한의 부품만 넣은 후 바로 출력 트랜스로 넘기는 식이다. 나머지 부품은 모두 전원부 계통이다.

어찌 생각해보면 너무 간단해서 아무나 도전할 수 있는 과제로 보인다. 하지만 고수의 경지라는 것이 함부로 넘볼 수 있는 단계는 아니다. 그간 많은 메이커와 애호가들이 ‘아웃풋 트랜스 출력 방식’이라 불리는 이 과업에 도전했지만, 그 누구도 성공하지 못했다. 오로지 본 기만이 성공했으므로, 이 자체만으로도 큰 화제가 되지 않을까 싶다.
대체 왜 이리 어려운 것일까? 달리 튜닝할 부분이 없다는 점이 큰 문제일 것이다. 그래서 어렵게 만들고 나면, 중역 중심의 협대역만 나올 뿐이다. 저역이 없고, 고역은 애매한, 말 그대로 신출내기가 만든 제품과 다를 바가 없는 것이다.
이렇게 쓰고 보니, 유클리드의 공식을 풀려고 오랫동안 도전한 수학자들의 얼굴이 떠오른다. 그만큼, 공식은 간단해도 실제로 적용하는 데에 문제가 한둘이 아닌 셈이다. 하긴 요즘 인기가 높은 모든 프리앰프는 모두 이런 짧은 신호 경로를 추구하는 가운데, 여러 디지털 회로나 DSP를 동원해서 모자란 부분을 보충한다. 그러나 T1에는 이런 장치가 전혀 없다. 왜? 전혀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여기서 30여 년이 넘는 메타 뮤직 사운드의 내공을 믿어도 좋을 듯싶다. 이 연구소, 다니엘 전자 등을 운영하면서 쌓아온 노하우를 바탕으로, 그간 숱하게 만들어온 회로의 많은 부분을 지워나가고 또 지워나가고 하면서, 마침내 이런 기술적 성과를 획득한 것이다. 따라서 뚜껑을 열어 내부를 보고 이게 바로 고수의 마지막 단계라 판단하면 좋겠다.

처음 본 기를 구상해서 제품화하는 데에는 무려 10여 년의 세월이 소요되었다. 자신의 최고 걸작을 만들어보자는 일념 하에 정진했는데, 그 과정에 여러 난관이 있었다. 심지어 개인사의 큰 불행도 겪은 가운데, 다시 마음을 잡고 본 기의 탄생에 모든 정열을 쏟아 부은 것이다. 얼마 전 방문했던 VPI 턴테이블을 주재하는 회장의 스토리와 다를 바가 없어서 더욱 진한 감동이 밀려온다.
본 기의 신호 계통을 보면, 5687이라는 관 하나만 나온다. 관 하나로 어떻게 스테레오를 구성하냐 싶지만, 이게 쌍 3극관이라, 하나로 두 채널을 너끈히 커버한다. 그 각각에 최소한의 부품으로 동작을 시킨 후, 출력 트랜스로 넘기는 것이다.
그렇게 보면 트랜스 쪽에 노하우가 상당히 투입되어 있으리라 쉽게 추측할 수 있다. 그런데 이 트랜스의 제작이 그리 만만치 않다. 다행히 설계자가 직접 트랜스를 감는 기술이 있어서, 이 부분에서 상당한 시행착오를 감내할 수 있었다. 1차 권선을 어떻게 감냐, 2차는 또 어떻게 감냐, 1차와 2차의 비율은 어떻게 하냐, 코일의 굵기를 어느 정도로 하냐, 전류를 얼마나 흘리냐…. 이건 컴퓨터 시뮬레이션이나 추측만 갖고 안 된다. 무수히 만들어서 붙여보고 또 들어보는 수밖에 없다.
그 결과 본 기는 24Hz-50kHz라는 광대역을 실현했다. TR 앰프에서 보면 뭐 대단한 수치가 아닐 수도 있으나, 이 방식으로 진공관을 사용해서 구현한 점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 한편 이 초단관은 GE제로, 유럽제를 쓴다면 E182CC라는 호환관이 있다. 멀라드제가 유명한데, GE와 당연히 음색이 다르다. GE 쪽이 정확하고 해상력이 좋다면, 멀라드 쪽은 약간 살집이 붙어 있으면서도 부드럽다. 아마 본 기를 구입한다면 두 계통을 사서 번갈아 꽂아서 듣는 재미가 각별할 것 같다.

한편 본 기는 출력 임피던스가 600Ω에 불과하다. 이렇게 저항이 낮으면, 아무리 긴 케이블을 연결해도 음질 손상이 별로 없다. 또 진공관 파워가 아니라 TR 파워와 매칭해도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참고로 본 기의 전원부에는 6X4라는 정류관 하나를 사용한 역시 심플한 구성이다. 그런데 그 음을 들어보면 한없이 투명하고 또 디테일하며, 다이내믹 레인지도 뛰어나 여러모로 흥미로웠다. 게다가 진공관 특유의 매끈하면서 포실한 감각이 좋아, 아무리 오래 들어도 귀가 피곤하지 않고, 오히려 몸이 개운해지는 느낌이다. 음악으로 힐링을 추구한다면 본 기를 강력하게 추천하고 싶다.
시청에는 본 기와 커플링되는 펜토드 플래티넘 파워 앰프에 KEF R700, 탄노이 K3808 등을 걸었다. 어느 스피커를 걸어도 충분한 구동력을 바탕으로, 나긋나긋하고, 디테일이 좋은 음이 나온다. 무엇보다 반응이 빨라, 어떤 음이든 걸리적거리거나 애매한 대목이 없다. 그러면서 풍부한 질감과 뉘앙스가 있어서, 들을수록 매력을 느끼게 한다. 과연 이 스피커가 이 정도 수준이었나 깜짝 놀랄 정도였다. 전 세계적으로 진공관 장인들의 수가 급감하는 가운데, 우리의 명인이 만들어낸 이 마스터피스는 오디오 역사에 큰 획을 그었다고 평가해도 결코 과장이 아닐 것이다. 

[특징]
- 24Hz-50kHz 특성을 가진 트랜스 장착했다.
- 커플링과 같은 매개 회로가 전혀 없는 극히 단순한 구조로 신호의 퀄리티가 매우 우수함.
- 악기의 분리와 해상력 음의 투명도가 뛰어남.
- TR 앰프, 진공관 앰프 구별 없이 탁월한 매칭.
- 저 임피던스(600Ω)로 인터선이 길어도 음의 손실이 없음.

제조원 메타뮤직사운드(구 이연구소) (02)712-0015
가격 350만원  사용 진공관 5687(E182CC)×1, 6X4×1  입력 RCA×3  주파수 응답 24Hz-50kHz
입력 임피던스 100KΩ  출력 임피던스 600Ω  이득 약 5배  크기(WHD) 33.4×14.5×15.4cm

506 표지이미지
월간 오디오 (2014년 9월호 - 506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