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am ARTist 3
상태바
Adam ARTist 3
  • 이현모
  • 승인 2013.04.01 00:00
  • 2013년 4월호 (489호)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데스크 위에서
백조와 같은 아우라를 풍기다
 요즘 PC 파이 애호가가 많이 늘고 있다. 음원이 1980년대부터 디지털화된 이후, 특히 1990년대부터 PC가 보급되면서 PC를 소스기기로 사용해서 음악 듣는 행태가 서서히 자리잡아 왔다. 그러나 과거에 PC를 구입할 때, 서비스 차원에서 덤으로 따라오던 PC용 스피커는 생김새나 음질 면에서 오디오 애호가들에겐 처음부터 외면당했다. 또 한동안 MP3 플레이어가 보급되면서 압축된 디지털 음원의 음질이 열악했던 것도 한동안 오디오 애호가들로부터 외면당했던 이유 중의 하나였다. 그러나 세월은 흐르고, 관련 기술이 발전하면서 음질은 CD 음질만큼 좋아졌다. 더구나 고음질 음원들은 스튜디오의 녹음 음질에 맞먹을 정도로 발전하고, 이에 발맞추어 PC용의 고성능 액티브 스피커가 출시되면서 다시 본격적인 PC 파이가 보편화되고 있는 것이다. 이제는 많은 하이엔드 업체들이 하이엔드 급의 액티브 스피커를 출시하고 있다. 하지만 오디오 업체의 입장에선 액티브 스피커는 이윤 추구에는 썩 좋은 품목은 아닌 것 같다. 앰프와 스피커를 한 통에 집어넣고도 앰프나 스피커의 단품 가격 정도에 팔아야 하기 때문이다. 소비자들은 앰프와 스피커가 합쳐져 있다고 해서 앰프와 스피커 값을 따로 계산하지는 않고 당연히 한 덩어리로 취급해서 지불하려 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DAC까지 내장된 제품도 출시되고 있어서 그야말로 하나의 스피커 통 속에 DAC, 앰프까지 들어가고도 소비자가 만족할 만한 수준의 가격을 제시해야 하는 과제가 앞에 있다.이번에 필자가 시청한 아티스트 3 액티브 스피커는 아담(Adam)이란 업체의 제품이다. 아담은 독일의 프로용 스피커를 제작하는 업체 중에서도 손꼽히는 업체로 알려져 있다. 특히 국내·외의 음향 엔지니어 사이에서는 오래전부터 잘 알려진 브랜드이다. 아담의 홈페이지에 들어가 보면 프로 오디오와 홈 오디오 코너가 별도로 있다. 


 현재 국내에는 미드·우퍼가 5.5인치인 아티스트 5와 4.5인치인 아티스트 3 액티브 스피커가 들어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이 두 스피커 모두 아담에서 자랑하는 X-ART 트위터를 채용하고 있다. 진동판이 주름 격막형으로 되어 있어 전송되어 온 음악 신호에 따라 압축되거나 펼쳐지고, 이에 따라 주변 공기가 빨려 들어오거나 밖으로 배출된다. 마치 아코디언의 벨로우즈와 같은 원리인데, 기존의 드라이버에 비해 빠른 공기 이동으로 더 명료한 음질을 보장한다고 한다. 아티스트 3 액티브 스피커의 재생 주파수 범위는 60Hz-50kHz이다. 각각의 스피커 인클로저에는 USB 입력에 대응하는 DAC와 CD 플레이어와 같은 소스기기로부터 오는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RCA, XLR, 3.5mm 스테레오 잭이 있다. 그리고 각 스피커마다 별도의 전원, 즉 각각의 앰프가 들어 있어 두 스피커 사이의 위상차를 근본적으로 없앴다. 각 스피커의 내부에는 25W 출력을 내는 앰프 2개가 있다. 그야말로 CD 플레이어, 프리앰프, MP3 플레이어, 태블릿 PC, PC 등 다양한 디지털 기기를 연결해 제대로 음악을 즐길 수 있는 전천후 오디오 기기인 것이다.아티스트 3 액티브 스피커에 대한 이런 사전 배경 지식을 바탕으로 하고 본격적으로 시청했다. 소스기기로 노트북 컴퓨터를 사용하고 아티스트 3 액티브 스피커에 USB로 연결해 시청했다. 그야말로 이 액티브 스피커 내부의 모든 기기를 한꺼번에 점검해 본 것이다.


 피아니스트 마르크-앙드레 아믈랭이 연주하는 쇼팽의 피아노 소나타 제2번 3악장 장송행진곡(Hyperion)을 들어 보았다. 생각보다 부드럽고 두터운 울림의 피아노 소리이다. 작은 외모와 달리 그려내는 무대의 크기가 상당하다.러시아의 젊은 연주자들이 연주하는 차이코프스키의 유명한 피아노 트리오 '위대한 예술가를 회상하며'(Erato)를 들었다. 현악기들의 음색 역시 부드럽고 따뜻한 편이다. 조수미가 부른 비발디의 '이 세상에 참 평화 없어라 RV630' 중에 나오는 '라르게토'(Warner Classics)에선 저음악기의 에너지감이 상당한 편이고, 조수미의 목소리는 약간 굵고 부드러운 편이다.첼리비다케가 지휘하는 베토벤의 합창 교향곡(EMI) 제4악장 합창 부분에서는 처음부터 관현악이 좌우로 넓은 무대를 연출한다. 솔로 가수의 목소리는 제법 우렁차며, 합창단의 목소리도 그렇다. 이렇게 몇 가지 음원을 들어 보니 독일의 프로 음향기기 전문 업체인 아담에서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에 대응해 전천후로 사용할 수 있는 소형의 액티브 스피커를 개발한 이유가 충분히 이해된다. 작지만 당당하고 크게 들려주는 음향 무대와 부드러우면서도 좀 따뜻한 느낌을 주는 소리는 처음 듣는 이를 충분히 매료시킬 만한 소리다. 그러나 좀더 고급의 하이엔드 기기에서 요구되는 고해상도와 정밀한 음향 면에서 좀 아쉬움을 남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기기를 연결해서 편리하고 간단히 음악이 즐길 수 있는 점은 큰 장점으로 보인다. _글 이현모

 수입원 사운드솔루션 (02)2168-4525가격 140만원  실효 출력 25W  사용 유닛 우퍼 12cm, 트위터 X-ART  재생주파수대역 60Hz-50kHz  
크로스오버 주파수 2800Hz  입력 임피던스 10㏀  크기(WHD) 15×25.2×18.5cm  무게 5kg 
489 표지이미지
월간 오디오 (2013년 4월호 - 489호)

당신만 안 본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