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W PM1
상태바
B&W PM1
  • 장현태
  • 승인 2012.07.01 00:00
  • 2012년 7월호 (480호)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디자인·성능·사운드 완벽함의 3박자
 B&W PM1은 진정한 콤팩트 북셀프 스피커가 어떤 것인지 명확히 들려주는 제품이다. 제품의 외관 이미지와 제품 스펙만 보아선 제품의 사이즈가 짐작이 가지 않는데, 겨우 30cm를 조금 넘긴 높이다. 동사의 기존 북셀프 제품과는 비교되지 않는 콤팩트한 제품이라서, 성능과 스펙적인 부분에서는 의심을 가질 수밖에 없는데, 이 작은 제품의 한계는 어디일지는 실제 사운드를 들어보지 않고는 상상이 되지 않는다. 이 제품은 B&W의 창립 45주년 기념 모델로 선보인 제품인데, 기존 기념 모델들의 성격이 플래그십 제품으로 접근되었던 점과 비교해 본다면 보급형 제품에도 기회를 준 듯하다. 무엇보다 PM1에는 동사의 오랜 소형 북셀프 스피커의 노하우가 곳곳에 반영되어 있는데, 1990년대 중반 CDM1을 시작으로 2010년 805 다이아몬드까지 과거에서 현재까지의 모습을 함축적으로 담아낸, 다이아몬드 시리즈의 뒤를 이은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세련미가 한층 돋보인다. 트위터는 기존 제품과 마찬가지로 상단에 튜브 로딩 타입을 적용하고, 매트릭스 구조의 캐비닛과 딤플 구조의 포트 등은 지난 세월 동안 가장 인기 있었던 북셀프 스피커의 장점들로서, 이를 고스란히 반영하였다. 새로운 카본 브레이스 트위터를 채용했으며, 이는 다이아몬드 시리즈 개발을 통해 습득한 노하우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알루미늄 돔 주위를 초박 탄소 섬유 링으로 보강하여 고역 공진 주파수를 40kHz까지 끌어올렸다. 이는 기존 알루미늄 돔의 한계였던 30kHz를 뛰어넘은 것이며, 낮은 가격대에서 다이아몬드 트위터에서의 고역 특성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13cm 사이즈의 미드·우퍼는 전통적인 케블라 콘재를 사용했고, 새로운 안티 레조넌스 플러그는 콘의 공진을 줄여 과장 없는 중·저역 재생에 도움을 주고 있다. PM1의 캐비닛도 전통적인 매트릭스 보강 구조를 반영하여 견고하게 제작되었는데, 외관 마감은 우레탄 코팅 처리되었고, 새롭게 성형된 배플과 상부 패널이 음상 정위까지 개선함으로써 콤팩트하지만 만족스러운 스케일을 선사한다. 단지 음압은 84dB이기 때문에 앰프 매칭은 신중할 필요가 있는데, 낮은 음압은 어쩌면 동사 제품 중 예외적인 제품이 아닐까 생각된다. 사운드적인 측면은 과거와 현재의 이미지를 모두 담아내는 노력이 엿보이는데, 대역 밸런스가 잘 잡혀 있으며, 크기를 의심하게 만드는 깊이 있는 저역이 인상적이며, 해상력도 무시할 수 없다. 작지만 오디오적 음악성에 중점을 두어 화려하기보다는 차분하고, 중·저역의 밀도가 더욱 강조되고 있다. B&W는 PM1을 통해 많은 메시지를 전달해 주고 있다. 과거부터 현재까지 흐트러짐 없는 그들의 집약된 스피커 기술력을 PM1을 통해 다시 한 번 보여주고 있으며, 한 단계 진보된 북셀프 스피커로서 디자인, 성능, 사운드 3가지 요소에서 가장 B&W적인 모습을 담아낸 스피커라고 할 수 있다. 동사가 수십 년간 쌓아 올린 소형 북셀프 스피커 시장에서의 입지를 다시 한 번 확인할 만한 제품으로, PC 파이 시장이 확대되면서 더욱 소형 스피커에 대한 기대치가 높은 시점에서 적절한 콘셉트의 스피커로 주목할 만하다. 

 수입원 로이코 (02)335-0006가격 450만원(FS-PM1 스탠드 100만원)구성 2웨이 2스피커 인클로저 베이스 리플렉스형 사용유닛 우퍼 13cm 케블라 콘, 트위터 2.5cm 알루미늄 돔 재생주파수대역 48Hz-22kHz(±3dB)크로스오버 주파수 4kHz임피던스 출력음압레벨 84dB/2.83V/m권장 앰프 출력 30-100W크기(WHD) 19.1×33.1×25cm 무게 9.3kg  
Tag
#B&W #PM1
480 표지이미지
월간 오디오 (2012년 7월호 - 480호)

당신만 안 본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