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diolab M-DAC
상태바
Audiolab M-DAC
  • 신우진
  • 승인 2012.06.01 00:00
  • 2012년 6월호 (479호)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데스크 파이를 위한 최적의 시스템
 이 DAC는 오디오랩의 인기 모델이던 8200에서 CD만 적출해낸 듯한 구조를 가지는 DAC이다. 가격대는 거의 로우엔드 수준으로 낮음에도 외형적인 완성도나 사용의 편이성은 몇 단계 위의 제품을 보는 듯한 모습을 가지고 있다. 심플함과 편의성, 그리고 경제적인 면에서 강점을 보이는 영국의 오디오 제품인 오디오랩다운 DAC이다. 복잡한 것 싫고, 그냥 단촐하게 구성하고자 한다면 예를 들어 책상 위에 미니 액티브 스피커로 간단하게 음원 재생을 하고 싶다면 M-DAC는 최적의 조건을 가지는 것 같다.은색 또는 검은색의 M-DAC는 우선 뒷면을 보면 다양한 디지털 입력에 대응하고 또한 저가 DAC로는 과분하게 밸런스 출력이 가능하다. 코엑셜 입력은 192kHz까지 지원되지만, 유감스럽게 옵티컬 입력과 USB 입력은 96kHz 샘플레이트까지만 지원된다. 사람 마음이 참 이상한 것이, 지금 내가 가진 2-3테라 정도의 음원, 수천장 앨범 중 192kHz로 된 음원은 열 장 조금 넘는 것 같은데, 무슨 큰일이라도 있는 듯 서운하다. 게다가 내 PC에 코액셜이나 S/PDIF가 있는데도 꼭 USB나 파이어와이어로 연결해야 될 것 같은 강박관념에 사로잡혀 있다. 이율배반적인 것이 나는 아직도 사용 빈도를 이유로 SACD 재생기도 없고, PC의 안정성 때문에 남들이 꺼리는 팬도 달아놓고는 말이다. 아무튼 어찌되었건 이것은 M-DAC의 약점이기도 하고, 반대로 이 가격에 이 정도 제품이 나올 수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물론 그렇기에 별도의 조작 없이 연결만으로(USB 2.0 드라이버를 설치하지 않아도) 소리가 나온다. 칩셋은 역시 8200때부터 사용하던 ESS사의 사브레32 9018이 계속 사용되고 있다.저가 DAC로는 보이지 않는 고급스런 실버톤의 알루미늄 도장의 케이스의 전면부를 보면 큼직한 정보창을 가지고 실렉터와 볼륨, 그리고 헤드폰 단자 등은 디지털 프리로 부족함이 없어 보인다. 이렇게 만들어도 단가가 맞을까 싶을 정도로 다양하고 세심하게 배려를 해준다. 부품값이야 얼마 안 된다고들 말하지만 이 가격의 DAC에 이렇게 제대로 된 리모컨까지 챙겨주는 DAC는 처음 본 것 같다. 그렇기 때문에 앞서 말한 데스크 파이용으로 적당하다. 심플하게 연결해 헤드폰이나 소형 액티브 모니터 스피커를 울리는 용도로 필요한 기능과 요소, 적당한 사이즈를 모두 갖추고 있다.음질은 사실 이것으로 본격적인 오디오를 하기는 조금은 무리가 있어 보인다. 8200과 거의 유사한 퀄러티로 보면 될 듯하고 예의 이전과 같은 평가, 아날로그적인 차분한 음색을 가지는 사운드가 난다. 본지 독자의 심플한 안방용 데스크톱용 시스템에 적합하고, 다양한 기능 덕에 이리저리 쓸모가 많아 보인다. 또한 이 기기를 보면서 지금 50만원 안팎의 오디오 회사들이 만들어 내는 DAC가 너무 무성의하게 제작되는 것은 아닌지 돌아보게 된다. 중국에서 찍어낸 보드에 대충 알루미늄 껍데기만 씌워 아무 기능도 없이 나오는 제품이 많다. 최소한 필요한 사항이라도 챙겨주는 오디오랩의 태도가 돋보인다. _글 신우진

 수입원 소비코AV (02)525-0704가격 112만원  DAC ESS Sabre32 9018  디지털 입력 Coaxial×2, Optical×2, USB×1 디지털 출력 Coaxial×1, Optical×1  주파수 응답 20Hz-20kHz(±0.2dB)출력 레벨 2.25V(RCA), 4.5V(XLR)  THD 0.002% 이하(RCA), 0.0008% 이하(XLR)다이내믹 레인지 115dB 이상(RCA), 122dB 이상(XLR)크로스토크 -120dB 이하(RCA), -130dB 이하(XLR)  크기(WHD) 25×5.9×25.2cm  
479 표지이미지
월간 오디오 (2012년 6월호 - 479호)

당신만 안 본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