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리톤은 구리나 은 단결정 도체로 만든 선재를 사용하고 있는 국내의 하이엔드 케이블 전문 업체이다. 솔리톤에선 최근에 파울리(Pauli)라는 이름을 붙인 케이블들을 출시하고 있다. 필자는 전에 파울리-C1 RCA 인터 케이블을 시청한 바 있으며, 다른 솔리톤 케이블을 다양하게 시청한 바 있어 솔리톤 케이블의 특징을 비교적 잘 안다고 생각한다. 파울리-C1 RCA 인터 케이블은 기존의 CIS11 RCA 인터 케이블에서 한층 더 개선된 것이라고 한다. 즉, 선재는 기존의 CIS11 RCA 인터 케이블의 선재와 같은 구리 단결정(Cu 싱글 크리스털, TSC 와이어 20AWG)이다. 그런데 CIS11 RCA 인터 케이블과 다른 점은, 접지선과 접지 단자에 있다. 즉, 솔리톤에선 새로운 시도를 한 접지 단자를 파울리(Pauli) 단자라고 이름 붙인 것이다. 이 파울리 단자는 구리 단결정 기판에서 정밀 가공해 제조했다. 게다가 접지선도 정밀 가공한 구리 단결정을 사용해 신호 전달의 위상차를 없앴다고 한다. 그 외에 Pb-Free 방식으로 단자와 선재를 연결해 연결부의 열화 및 노이즈 발생을 억제했다고 한다. 즉, 처음부터 납땜을 하지 않고 압착 방식으로 연결한 후 확실한 고정을 담보하기 위해 나중에 납땜을 한 것이다. 이것은 신호가 땜납을 통해 흐르기 전에 단결정 선재끼리 접촉된 경로를 통해 흐르게 해서 순수한 신호 전달을 우선하게 한 것이다. 납땜은 압착된 것이 혹시 나중에라도 느슨하게 풀리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원음 재현에 충실하고, 기존 인터 케이블보다 해상력이 더욱 좋아지고 정위감이 뛰어나게 되었다고 한다. 따라서 소리의 전체적인 밸런스가 좋아져 음악적 분위기를 잘 살려내게 된다.이번에 시청한 파울리-S1 RCA 인터 케이블은 앞에서 설명한 파울리-C1 RCA 인터 케이블과 도체의 재료인 선재만 다를 뿐이다. 즉, 구리 단결정(Cu 싱글 크리스털, TSC 와이어 20AWG)에서 은 단결정(Ag 싱글 크리스털, TSC 와이어 20AWG)으로 바뀐 것이다. 물론 커넥터도 Ag 싱글 크리스털 - RCA 핀이다. 그리고 3mm 파울리 접지 단자를 사용했다. 그 외 단자와 선재를 초음파 접합 방식으로 접합해 열화 노이즈 발생을 없앴고, 알루미늄 액세서리를 사용해 케이블 외장을 조임 방식으로 채택했다.솔리톤의 파울리-S1 RCA 인터 케이블에 대한 사전 지식을 바탕으로 본격적으로 청취에 임했다. 파울리-S1 RCA 인터 케이블의 성능을 상대적으로 비교 확인하기 위해서, 시청실에 구비되어 있던 중•저 가격대의 동 선재의 인터 선과 비교 청취했다. 심오디오 650D CD 플레이어에 티악 AI-3000 인티앰프를 연결하고, 스피커는 마그나트 퀀텀 1005를 연결했다. 파울리-S1 RCA 인터 케이블은 CD 플레이어와 인티앰프 사이에 연결했다. 이 정도의 기기면 충분히 이 인터 케이블의 성능을 점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쇼팽의 피아노 소나타 제2번 3악장 장송행진곡(Hyperion)을 최고의 기교파 피아니스트 마르크-앙드레 아믈랭이 연주하는 것으로 들어 보았다. 비교 케이블에 비해서 소리가 더 깊고 입체적으로 들린다. 배음이 살아나면서, 피아노 음이 더 단정하면서도 풍부하고, 또 명료하게 들린다.차이코프스키의 유명한 피아노 트리오 '위대한 예술가를 회상하며'(Erato)의 앞부분을 들었다. 첼로는 까칠하면서도 윤기가 흐르며, 바이올린 또한 더 매끄럽고 촉촉하게 들린다. 조수미가 부른 비발디의 '이 세상에 참 평화 없어라 RV630' 중에 나오는 '라르게토'(Warner Classics)에서 반주악기인 저음 현악기 소리는 더 명료하고 단정하다. 조수미의 목소리는 더 청아하고 명료하다. 첼리비다케가 지휘하는 베토벤의 합창 교향곡(EMI) 제4악장 합창 부분에서는, 도입부의 타악기와 오케스트라의 소리가 더 입체적이고 명료하다. 솔로 가수들의 목소리가 자연스럽고 선명하다. 악기와 합창단의 목소리 또한 자연스럽고 해상도는 높게 들린다. 적당한 잔향도 잘 표현된다.이렇게 몇 가지 음반을 들어 보니, 솔리톤의 은 단결정으로 된 도체와 접지 단자, 접지선으로 만든 파울리-S1 RCA 인터 케이블의 성능을 확연히 알 수 있었다. 그동안 솔리톤 케이블에서 확인해 온 정숙성, 뛰어난 정위감, 입체적 음향 등이 이 케이블에서 그대로 드러난다. 파울리-C1 RCA 인터 케이블에 적용된 단결정 기술과 접지 단자 처리, 세밀하게 보강된 단자 접점 기술력이 은 단결정 선재로 된 파울리-S1 RCA 인터 케이블에서 차원이 다른 음향을 들려준다. 동 선재와 은 선재의 차이는 가격을 떠나서 취향의 차이로 볼 수도 있다. 은 선재 케이블들이 중•고역에서 좀더 명료한 면을 보인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솔리톤 파울리 케이블들은 변함없는 하이엔드 케이블로서 그 면모를 드러낸다는 점이다. 제조원 (주)엠씨랩 (055)350-58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