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gnat Quantum 1005
상태바
Magnat Quantum 1005
  • 김남
  • 승인 2012.04.01 00:00
  • 2012년 4월호 (477호)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가격 그 이상의 만족감을 줄 수 있는 진솔한 제품
 이런 정도의 제품을 보급품으로 내놓을 수 있는 마그나트라는 제작사에 경의를 표한다. 클래식에서 경음악 연주까지 어느 한 장르에 편중되지 않게 평준적으로 우수하다. 외관의 미려한 호감도가 제품의 내밀한 점까지 그대로 이어지는 진솔하고 소박한 제품을 만났다. 서슴없이 추천하고 싶다. 이 제작사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자료가 거의 없다. 다만 독일의 중소 스피커 브랜드로 알려져 있고, 카 스피커 분야에서 널리 알려지고 있는 인기 레이블인 것은 틀림없기 때문에 로고도 낯설지가 않다. 그러나 대표적인 스피커를 하나 찾아보려고 하니 어렵다. 그동안 별로 두드러지지 않는 그만그만한 제품만을 집중적으로 만들어 왔기 때문일 것이다.근래 들어서는 그동안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홈 스피커를 여러 기종 출시하고 있는데, 모니터 시리즈가 대표적이고, 본 퀀텀 시리즈가 최신작이다. 아마 이제 홈 스피커 쪽으로 방향을 선회해 보려는 본격적인 신호인 것 같다.독일의 이 제작사는 자체적으로 유닛을 생산한 다음 최적의 인클로저를 바탕으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한 최적화 스피커를 제작하고 있는데, 대량 생산임에도 핸드메이드로 작업하고 있다는 것을 자랑으로 공개하고 있기도 하다. 독일이나 스위스 제품은 비싸기 짝이 없다. 대부분의 인식이다. 그런데 이 제품은 독일 브랜드의 제품이다. 당연히 비싸리라 생각이 든다. 이 제품의 외관을 보고 느낀 첫 인상이다. 그러나 막상 가격을 알고 놀랐다. 독일에서도 이런 제품이 나올 수 있다니.


 독일제 제품의 분위기와 다른 유럽의 일반 제품과의 분위기는 뭔가 좀 다르다. 미국도 있고 일본, 영국도 있는데 왜 독일 자동차가 세계 시장에서 가장 우수한가? 근래에 독일의 BMW 사장이 한국의 차를 얘기하면서 매우 잘 만들었다, 그러나 자기들과는 10년 정도의 차이가 있다고 아무렇지도 않게 얘기하는 기사를 읽고 매우 놀랐다. 그것이 현실일 것이다.카 오디오 전문가가 주변에 한 사람 있는 덕분에 마그나트의 광고 스티커를 진력나게 봐 왔다. 집안에 장식용으로 유닛 한 세트도 한참 동안 가지고 있었다. 그 친지는 클래식 스피커에는 관심이 없고 카 오디오 쪽만 관심이 많아서 제품을 팔고 사기도 하고, 때로는 적당한 인클로저에 넣어서 듣기도 하는데, 내 시스템을 들어 보면서 싸구려 카 오디오보다 더 나을 것도 없다는 혹평을 하기도 했다. '그게 그거예요'라고 해 버리면 사실 할 말이 없다. 지금은 대체 왜 그것이 그렇게 좋단 말인가? 라고 꼬치꼬치 묻는다면 할 말이 없다. 사실 카 오디오 제품보다 무엇이 더 좋단 말인가? 이 시청기는 그런 짓궂은 질문에 대한 대답이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이다.외관부터 상당히 잘 만들었다. 피아노 래커도 수준급이고, 전체적으로 풍기는 분위기가 예사롭지 않게 느껴져서 1000만원대의 제품인가 라고 묻기도 했다. 물론 1차 시청을 해 보고 난 상태에서 말이다. 그만큼 이 제작사는 가격 그 이상의 만족감을 줄 수 있는 현실적인 스피커 브랜드라고 확신할 수 있겠다. 오래전 근무했던 한 지방의 신문사에서 연재소설에 싸구려 삽화만 그리던 분이 있었다. 쓰고 버리는 삽화만 부지런히 그리기 때문에 그가 때로는 수채화 같은 것을 그려도 별로 눈에 들어오지 않았다. 싸구려라는 생각이 들어 있었기 때문이다. 자신도 크게 애착을 가지는 것 같지 않아서 한두 점 얻으려면 말만 하면 되는 처지였지만 별로 내키지 않았다. 허접 동양화 같은 것을 얻어서 걸었다가 내버린 적이 많았기 때문이다. 그 분은 지금 한국을 대표하는 수채화가의 한 사람이다. 공짜로 그림을 얻는다는 것은 턱도 없는 그런 분이 되고 말았다. 그때 그림도 볼 줄 모르는(?) 친구 하나는 한 점 얻어 가졌는데 지금은 추억의 자랑거리가 되었다.


 본 시청기는 결국 그런 기억으로 이어진다. 여러 가지의 곡으로 충분히 테스트를 해 보고 난 뒤의 결론이다. 감도가 매우 높아서(92dB) 앰프 선정도 자유롭다. 소출력으로도 충분한 소리를 낼 수 있다는 것은 매우 장점이다. 200W로도 모자라서 300-400W, 심지어 1000W 급으로 물릴 때 소리가 제대로 나는 스피커도 있기 때문이다. 그런 스피커를 보면 겁이 난다. 연비가 1L에 5km도 안 되는 승용차를 볼 때의 기분과 다름없기 때문이다. 심지어 A급의 어떤 제품은 전기세가 한 시간에 5천원쯤 나가는 경우(누진세를 감안해서)도 있다. 아무리 돈이 많아도 서너 시간 듣고 전기세만 2만원 이상이라면, 그걸 안다면 마음에 음악이 들어오기 쉽지가 않을 것이다.시청했던 각 곡목별로 메모를 해 놓은 것이 있는데 신기하다. 가격을 알고 나서도 이런 마음이 들었을까 라는 자문이 드는 구절로 이런 것도 있다. '세자리아 에보라가 부르는 베사메무쵸는 가수 본인이 들었어도 브라보 라고 했을 것이다.' '비발디의 사계 중 봄의 첫 소절이 주는 해맑음과 매끈한 입체감도 감탄스럽다.'이런 정도의 제품을 보급품으로 내놓을 수 있는 마그나트라는 제작사에 경의를 표한다. 클래식에서 경음악 연주까지 어느 한 장르에 편중되지 않게 평준적으로 우수하다. 외관의 미려한 호감도가 제품의 내밀한 점까지 그대로 이어지는 진솔하고 소박한 제품을 만났다. 서슴없이 추천하고 싶다. 

 
수입원 태인기기 (02)971-8241가격 400만원  구성 2웨이  인클로저 베이스 리플렉스형사용유닛 우퍼 17cm, 트위터 2.5cm  재생주파수대역 21Hz-75kHz크로스오버 주파수 2600Hz  임피던스 4-8Ω출력음압레벨 92dB/2.83V/m  권장 앰프 출력 35W파워 핸들링 200W, 350W(최대)  크기(WHD) 24×110×33cm  무게 35kg
477 표지이미지
월간 오디오 (2012년 4월호 - 477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