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rdost Purple Flare XLR Speaker Cable
상태바
Nordost Purple Flare XLR Speaker Cable
  • 김남
  • 승인 2012.02.01 00:00
  • 2012년 2월호 (475호)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노도스트의 명성을 이어가는 합리적인 기대작

 명성을 날리고 있는 노도스트의 대중판 버전 케이블 2기종이다. 지난달에도 요즘 시세로 하면 상당히 저렴한 밸런스 케이블 1기종을 시청했는데, 본 시청기는 그것보다도 하위 모델이다.노도스트는 세계 케이블 시장에서 하이엔드부터 염가의 보급판에 이르기까지 대량의 제품들을 선보이고 있는데, 본 제품 중 스피커 케이블은 그 날렵함으로 한 몫을 하고 있다. 스피커 케이블을 이렇 만들 발상을 한 것만으로도 흥미가 있다. 기왕에도 이런 형태의 스피커 케이블들이 종종 등장했지만, 그중에서도 이 제품은 날렵하고 간편하기가 으뜸이라 할만하다. 반투명의 비닐 막 안에 간격을 두고 선 하나에 14가닥의 구리선이 배열되고 있는 단순한 케이블이다. 이런 제품을 보면 욕심이 난다. 왜냐 하면 지금의 스피커 케이블이란 어떻게 보면 오디오 기기보다도 더 거창하고 겁기 짝이 없기 때문이다. 걸핏하면 그런 무게 때문에 저절로 스피커에서 흘러내리는 경우가 많아서 자주 점검을 하지 않으면 안 된다. 불편하기 짝이 없다. 좀 가벼우면서 성능이 좋은 케이블은 만들 수가 없는 것일까? 그런 불만 속에서 보는 이 케이블은 둘둘 말아서 주머니에 집어넣어도 상관이 없을 정도이다.노도스트는 오디오용 제품을 만들기 시작한 지 20년이 되었지만, 세계적으로도 케이블 제작사로는 드물게 연구 개발에 몰두해 보유한 특허만도 여러 건이 된다. 오디오용 케이블이라는 것은 사실 케이블 업체로는 미미한 사업 영역에 불과하다. 우주 공학, 선박, 항공기, 의료와 컴퓨터 정밀 장비들에 들어가는 것이 숫자가 방대한 반면 오디오 용도라는 것은 그야말로 새 발의 피에 불과한 숫자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오디오용 케이블에 끊임없이 투자하고 새로운 제품을 만들어 내면서도 초고가의 케이블이 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지금 불과 기십만원대의 염가 제품을 계속 출시하고 있는 것을 보면 존경스럽기도 하다.노도스트의 캐치프레이즈는 '케이블은 필터'라는 것이다. 즉, 케이블은 모든 주파수대의 전류를 통과시키는 전 대역의 필터라는 뜻이다. 그리고 당연히 어떠한 주파수도 가감 없이 케이블을 통과해 가야 하며, 그 과정에도 심각한 불순물은 제거되어야 한다는 것인데, 이로써 그들 제품에 항상 따라 붙어 있는 초광대역, 하이 스피드, 완벽 전달이라는 것이 가능하게 된 셈이다.이런 목표 아래 개발되어 있는 오디오용 케이블만 해도 여러 단계별로 종합 50여종이나 된다. 슈프림 레퍼런스, 레퍼런스, 노스, 레이프, 플랫라인 등의 단계가 그것이고, 각 단계마다 다시 다른 명칭을 가진 제품들로 나뉘어져 어서 다소 복잡한 가지를 보여주고 있다. 본 시청기는 레이프 시리즈에 속한 기종 중 하나인데, 이 라인에는 시청기를 포함해 모두 4가지 기종이 있다. 명망이 있는 제작사의 제품은 메리트가 많다. 염가판이라고 할지라도 은연 중 자체의 노하우와 기술이 투입되기 때문이다. 본 제품은 염가판이지만 노도스트의 특허 사항인 마이크로 모노-필라멘트 기술, TSC(토털 시그널 컨트롤) 등 러 가지 기술력의 기반 위에서 제작되었다. 동사의 개발 특허 중 가장 으뜸인 마이크로 모노-필라멘트 기술이라는 것은 극히 미세하게 연마된 각 컨덕터의 표면 주위에 FEP 한 가닥씩을 나선형으로 감아주고, 그 주위에 다시 특수 공정을 가하는 것인데, 여러 가닥의 각각 절연된 솔리드 컨덕터를 사용, 전선 간의 상호 간섭을 배제하는 효과를 높이는 방식이다. FEP 과정이라는 것도 동사의 특수 사출 성형 기술인데, 제조 과정에서부터 발생하는 금속의 산화를 막기 위한 특수 성형 방식으로, 이런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선재를 전 케이블에 사용하고 있기도 하다. 이런 복잡하고 독특한 과정을 거친 결과 전기 용량, 전송 속도, 유도 계수 등 측정 가능한 특성 등에서 우수한 수치가 확인되었으며, 그것을 노도스트는 기본적으로 공개하고 있기도 하다.동사에서는 케이블 일정한 에이징이 가미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고, 그런 장비인 '바이달'을 공급하고 있기 때문에 동사의 케이블은 구입 시점부터 상당 시간이 경과되어야 제 성능이 나온다는 것을 전제로 해야 할 것이다.XLR 케이블은 고급 은으로 도금된 고순도의 무산소 동선이 원재료이며, 26AWG 굵기를 가진 6개의 컨덕터로 구성되었다. 스피커 케이블 역시 재료는 동일한데, 선재 하나의 기는 15AWG이며 14개의 컨덕터를 사용한다. 그 외에 제조 공법과 마감은 비슷해 보인다. 본 제품을 다인오디오의 스피커와 오르페우스의 프리·파워, 오디오에어로의 SACD 플레이어에 연결해 본다. 이 시스템은 억대의 고가 시스템인데, 이미 자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소리만 해도 만점에 가깝다. 때문에 소리의 색상이 어떻게 변할 것인지 정도로 테스트에 임한다.본 케이블 2조를 모두 결했지만 사실 이런 시스템에서 상당한 소리의 변화라는 것은 기대하기가 힘들다. 중·저가 모델만큼의 반응이 나오지 않는 것이 당연할 것이다. 동사 케이블의 기본 특색이 착색 없고 투명한 사운드이지만 염가판이라고 해도 그 방향을 벗어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하이엔드용은 아니지만 노도스트의 명성을 결코 저버리지 않는 기본기에 충실한 보증기라고 할 수 있겠다. 수입원 D.S.T.KOREA (02)719-5757




 Purple Flare XLR Cable 가격 34만원(1m)
Purple Flare Speaker Cable 가격 60만원(3m) 
475 표지이미지
월간 오디오 (2012년 2월호 - 475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