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H Model Three & Primare I35 DAC
상태바
KLH Model Three & Primare I35 DAC
  • 김남
  • 승인 2024.09.05 13:15
  • 2024년 09월호 (626호)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밀폐형 스피커의 역사를 들려주는 특별한 만남

반복되는 얘기지만 오디오는 매칭의 예술이다. 그것을 제외한 오디오 평가라는 것은 사실상 별 의미가 없다. 고가 제품이라고 부품 설명만 잔뜩 늘어놔 봤자인 것이다. 천하의 오디오 평론가라고 할지라도 마찬가지. 오랫동안 그것을 무시해 왔던 것이 지금은 해외 리뷰를 봐도 많이 변했다. 매칭 기기를 밝히고 그것에 한정된 소리라는 것을 알려 주고 있다. 무엇과 매칭했는지는 뒤로 물린 채 그냥 소리 강평, 부품 강평 시대가 지난 날 오디오 전문지의 관행이었지만 이제 그런 시절은 조금씩 지나가고 있어서 그나마 다행이다. 결혼하려면 남녀의 장점뿐 아니라 단점도 알아야 하며 어떻게 융화가 잘 이루어질 타입인지가 더 중요하다. 몇 조의 위자료 소송이 걸려 있는 한 재벌가 이혼 재판을 보니 새삼 매칭의 중요성이 떠오른다. 본지는 매호 매칭 코너가 있어서 그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대부분 편집부가 선별 제공한 것이지만 때로는 놀라운 매칭 시스템이 있어서 감동을 금하지 못할 때가 많다.

매칭이 잘 되었다면 벤츠 한 대 값의 호화 시스템보다도 국산 소형기 한 대 값의 절반도 안 되는 가격의 시스템에서 진정한 만족감을 누릴 수 있는 시절이다. 이번 호의 매칭은 왕년의 유명 스피커 제조사의 복귀작과 싸늘한 청감이 주 종목인 북구 제조사의 인티앰프의 합방이다.

스피커인 KLH의 모델 3을 소개하려면 모델 5를 먼저 이야기해야 한다. 모델 5는 KLH가 미국에서 밀폐형 스피커의 제왕이었던 시절 등장한 지금도 명기의 반열에 올라 있는 그 유명 기종인데, KLH가 재등장하면서 모델 5를 리바이벌해 최신 제품으로 만들었다. 모델 3은 그 모델 5를 기반으로 만든 주니어 모델.

KLH는 전성기 무렵에는 종업원이 500명이 넘었으며 한 해에 무려 3만여 세트를 판매했을 정도의 명 제작사였다. 그만큼 고성능이었던 셈이다. 이 회사는 어쿠스틱 서스펜션이라는 기술로 유명해졌는데, 이는 밀폐형 스피커 제조 기술이라고 보면 된다. 기존의 베이스 리플렉스 방식이 가진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고안된 테크놀로지라 할 수 있으며 베이스 리플렉스보다 더 단단하고 정확한 저역을 재생하고자 한 것이다. 그러나 대출력 앰프가 필요하다는 약점 때문에 점점 시장이 줄어들고 KLH의 이름도 사라져 버린 듯싶었다. 물론 지금도 밀폐형 스피커는 드물다. 그러나 그 기술의 우위를 신봉하는 팀이 2017년에 새 공장을 설립하고는 본격적인 신제품 제조에 들어갔다. 그것이 1968년에 출시된 이 회사의 명기 모델 5를 기반으로 한 완전히 새로운 제품인 모델 5다. 물론 당시에는 사용할 수 없었던 현대 기술, 부품 및 소재로 업데이트되었다.

KLH의 모델 3은 삐딱한 생김새부터 음악 본령의 가문 냄새가 물씬 풍긴다. 우선 모델 3은 모델 5와는 다르게 3웨이가 아닌 2웨이 스피커이며, 1인치 알루미늄 돔 트위터를 사용하고, 우퍼는 모델 5의 10인치보다 작은 8인치 사이즈의 펄프-페이퍼 콘 우퍼를 사용한다. 그 외에는 동일한데, 3/4인치 MDF로 제작된 구조적으로 강화된 캐비닛, 5방향 금도금 바인딩 포스트, 3단계의 ‘어쿠스틱 밸런스 컨트롤’ 기능을 동일하게 적용했다. 어쿠스틱 밸런스 컨트롤은 스피커의 출력 레벨을 낮춰 실내 음향에 맞게 조정하는 기능인데, 캐비닛 뒷면에 노브가 있고, HI는 기본 위치이자 0dB, MID는 400Hz 이상에서 -1.5dB, LO는 400Hz 이상에서 -3.0dB이며, 넓은 주파수 범위에 걸쳐 있기 때문에 처음과 전혀 다른 음색을 찾아낼 수도 있다는 점이 이 스피커의 덕목이다. 임피던스 6Ω, 감도는 88dB이며 권장 앰프 출력은 30-150W이다.

이 스피커와 매칭한 앰프는 스웨덴의 명 제조사 프라이메어의 D/A 컨버터 내장 인티앰프 I35 DAC. 디자인만 따지더라도 인티앰프 중 최고라고 할 만큼 아름답고 품위가 있다. 이만큼 실용과 미모를 갖춘 기기는 쉽게 찾을 수 없을 터이다.

I35 DAC의 DAC부에는 ESS 사의 ES9068A 칩을 사용하며, USB B 입력으로 PCM은 최대 32비트/384kHz까지, DSD는 DSD 256까지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MQA 디코딩도 지원한다. 디지털 입력단은 옵티컬 4개, 코액셜 2개, USB B 1개가 있고 디지털 출력단은 코액셜 1개가 있다. 특히 코액셜 출력의 경우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디지털 출력할 때 샘플링 레이트를 48kHz와 96kHz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물론 이 인티앰프는 디지털 입력만 되는 것은 아니다. XLR 2조, RCA 3조의 아날로그 입력단과 라인 아웃, 프리 아웃의 아날로그 출력단도 갖췄다. 또한 여기에 추가로 Prisma 모듈을 더하면 네트워크 플레이어 기능까지 사용할 수 있는 확장성도 갖추고 있다.

이 인티앰프는 출력단에는 프라이메어가 자랑하는 자체 개발 클래스D 증폭 모듈 UFPD(Ultra Fast Power Device) 2가 적용되어 있는데, 이를 통해 8Ω에서 150W, 4Ω에서 300W의 높은 출력을 낸다. 전원부도 특별하다. 동사에서 개발한 APFC(Active Power Factor Correction)가 적용되어 있다. 이는 서로 위상이 180도로 다른 듀얼 PFC 컨버터로 구성되어 있는 완전히 새로운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장치로, 앰프 모듈 UFPD 2에 필요한 엄청난 전력을 공급하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스위칭 손실을 최소화하고, 총 전류 리플이 감소하고 EMC가 향상되고 PFC 컨버터 출력의 전류 리플도 줄어드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이 두 기종의 매칭 사운드는 비발디 봄 1악장이 시작되면 해상력이 너무도 좋아서 마치 음악의 실비가 내리는 듯한 감촉이며 분석력이 강한 뒷맛이 있다. 금관 밴드의 번쩍거림, 팝 보컬의 애절함 등 확실히 괄목할 만한 사운드가 터져나온다. 선택은 어디까지나 소비자의 권한이겠지만, 개인적으로 추천하고 싶은 매칭이기도 하다.


KLH Model Three
가격 248만원(스탠드 포함)   구성 2웨이 2스피커   인클로저 어쿠스틱 서스펜션   사용유닛 우퍼 20.3cm 펄프 페이퍼 콘, 트위터 2.5cm 알루미늄 돔   재생주파수대역 46Hz-20kHz(±3dB)   크로스오버 주파수 1600Hz   출력음압레벨 88dB/2.83V/m   임피던스 6Ω, 3.7Ω(최소)   권장앰프출력 30-150W   파워핸들링 150W   크기(WHD) 31.1×48.2×26.7cm   무게 13.2kg

Primare I35 DAC
가격 690만원   실효 출력 150W(8Ω), 300W(4Ω)   디지털 입력 Coaxial×2, Optical×4, USB B×1(32비트/384kHz, DSD256)   디지털 출력 Coaxial×1   아날로그 입력 RCA×3, XLR×2   아날로그 출력 RCA×2   주파수 응답 20Hz-20kHz(-0.2dB)   S/N비 100dB 이상   크기(WHD) 43×10.6×42cm   무게 11kg 

626 표지이미지
월간 오디오 (2024년 09월호 - 626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