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복스란 브랜드는 국내에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2002년에 설립한 케이블 전문 업체로, 활발하게 제품을 내놓고 있는 업체이다. 보복스 케이블은 '최고의 신호 전송 능력을 갖춘 최적의 케이블을 개발하는 것이 진정한 목표이다'라고 말한다. 보복스의 창업자는 다음과 같은 철학으로 케이블을 만든다고 한다. '오디오 개념은 인간의 귀를 기준으로 측정되어야 한다. 측정 가능하지만 귀에는 들리지 않는 사운드의 차이는 우리에게는 무의미하다. 그러나 일반적인 상식에 반할지라도, 의미 있는 사운드 솔루션은 우리에게 중요하다. 우리는 케이블이 숭배의 대상이 되기를 원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블라인드 테스트를 통해서 진정한 소리의 차이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번에 시청한 보복스 보칼리스 IC 프로텍트 RCA 인터 케이블의 선재는 99.95% OFC의 단심선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오리지널 아이히만 불릿 플러그 RCA 단자를 채용했고, 실드 되어 있다. 전에 시청해 본 어떤 보복스 인터 케이블은 실드된 것과 되지 않은 것 두 가지 종류로 나와 있었는데, 그 이유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선택을 주기 위해서라고 해서, 동사가 오디오 애호가를 얼마나 진정으로 배려하는지 잘 알 수 있었다.보복스 보칼리스 IC 프로텍트 RCA 인터 케이블에 대한 사전 지식을 바탕으로 본격적으로 청취에 임했다. 보칼리스 IC 프로텍트 RCA 인터 케이블의 성능을 상대적으로 비교 확인하기 위해서 시청실에 구비되어 있던 중·저가격대의 인터 케이블과 비교 청취했다. 오디오랩 8200CDQ를 소스 기기로 하고, 에이프릴 뮤직의 스텔로 Ai500 인티앰프를 연결하고, 스피커는 마르텐 듀크를 연결했다. 보칼리스 IC 프로텍트 RCA 인터 케이블은 CD 플레이어와 앰프 사이에 연결했다. 먼저 쇼팽의 피아노 소나타 제2번 3악장 장송행진곡(Hyperion)을 최고의 기교파 피아니스트 마르크-앙드레 아믈랭이 연주하는 것으로 들어 보았다. 우선 피아노 소리가 전체적으로 명료해지고, 아믈랭의 강력한 타건력도 더 잘 살아난다.차이코프스키의 유명한 피아노 트리오 '위대한 예술가를 회상하며'(Erato)의 앞부분을 들었다. 러시아의 젊은 연주자들이 연주하는 바이올린, 첼로, 피아노 각 악기들의 음색이 사실적이면서 명료하게 들린다. '신이 내린 목소리'라고 카라얀이 극찬한 조수미가 부른 비발디의 '이 세상에 참 평화 없어라 RV630' 중에 나오는 '라르게토'(Warner Classics)에서 처음에 나오는 반주악기인 저음 현악기 소리가 자연스럽게 들린다. 조수미의 목소리는 더 명료하게 들린다. 첼리비다케가 지휘하는 베토벤의 합창 교향곡(EMI) 제4악장 합창 부분에서는 처음부터 관현악이 우렁차면서도 선명하게 넓은 입체 음향 무대를 연출한다. 이어지는 솔로 가수의 목소리도 해상력이 높게 사실적으로 묘사된다. 오케스트라, 합창대의 음향도 사실적이며 자연스럽게 펼쳐진다. 이렇게 몇 가지 음반을 들어보니 보복스 보칼리스 IC 프로텍트 RCA 인터 케이블이 계측기로 측정하는 수치보다 최종적으로 사람의 청각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점을 분명히 알 수 있다. 케이블의 물리적 특성보다 대부분의 사람이 듣기 좋은 소리로 접근하려는 과학적 접근은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왜냐하면 최종적으로 소리를 감상하는 주체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해상도를 바탕으로 한 명료한 소리는 하이엔드 케이블이 추구하는 목표이며, 그것을 현실로 구현해 내는 것이야말로 하이엔드 케이블이 해 내어야 하는 역할이다. 그런 점에서 보복스 보칼리스 IC 프로텍트 RCA 인터 케이블은 충분히 하이엔드 케이블의 하나가 될 수 있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