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mbridge Audio Azur 851A
한층 더 업그레이드된 캠브리지의 레퍼런스
2014-01-01 정우광
이러한 브리티시 사운드의 인기에 힘입어 비교적 낮은 가격으로 높은 품위의 음을 즐길 수 있는 제품도 속속 등장하기 시작했다. 캠브리지 오디오의 제품이 그 대표적인 케이스인데, 여타의 영국 제품처럼 튼튼한 다이캐스팅 섀시를 쓰거나 고품위의 디자인을 내세우지 않고 평범한 외관을 가지고 있으면서 높은 품위의 사운드를 재생해주는 실속 있는 제품으로 많은 사랑을 받아왔던 것이다. 이러한 트렌드는 21세기에 접어들어서도 변하지 않으면서 꾸준히 제품을 발표해 옴으로써 우리를 즐겁게 해주고 있는 것이다.
이번 호의 리뷰 제품은 인티앰프로 아주르 시리즈의 새로운 제품이다. 과거 동사의 제품과 비교해 볼 때 조금은 복잡해진 듯한 모습이지만, 그래도 미국이나 일본의 제품과 비교하자면 매우 단순한 모습을 하고 있다. 복잡해졌다는 첫인상은 전면에 위치한 표시 창에서 기인한 것인데 함께 제공되는 리모컨과 함께 앰프의 상태를 한눈에 알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과거의 음질 위주의 제품에서보다는 많이 현대적으로 변화된 것인데, 스마트폰에 익숙한 현대의 젊은 세대들에게는 이 정도도 부족할 것으로 생각이 든다.
제품의 설명서에는 이 앰프가 종래의 앰프와는 다른 XD클래스의 앰프라고 한다. 크로스오버 디스플레이스먼트의 약어라고 하는데, 종래의 AB클래스의 단점인 미세 신호 시의 크로스토크 왜곡을 획기적으로 줄였다는 설명인데, 자세한 기술적인 설명은 어디에도 나와 있지를 않다. 제품의 외관은 수수한 모습을 하고 있으나 전면에 위치한 표시 창을 통하여 앰프의 제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볼륨으로 사용되는 노브는 표시 창 옆의 작은 선택 스위치와 결합하여 전면의 표시 창에 표시되는 내용을 사용자가 원하는 내용으로 바꾸어놓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음악 신호의 증폭을 담당하는 기본 회로는 그동안의 캠브리지 오디오 앰프의 노하우가 집약된 것으로, 채널당 120W라는 대 출력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출력단의 방열판이 앰프의 중심부에 내장된 모습을 하고 있다. 프리앰프 부분은 별도로 분리된 트랜스를 사용하고 있고 파워 앰프의 전원부도 하나의 트랜스이지만 좌·우가 분리된 출력 스테이지를 채택하고 있어 회로적으로는 프리앰프와 좌·우로 분리된 모노블록 파워 앰프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신호의 증폭은 프리단에서부터 완전 밸런스 증폭을 하고 있고, 이를 위한 볼륨의 선택에도 많은 공을 들인 것으로 여겨진다.
시청을 위하여 동원된 스피커 시스템은 패러다임의 상급기인 시그니처 V.3 S2와 시청실에 있던 독일의 듀에벨의 벨라 루나 디아망테를 이용했다. 입력 장치로는 마란츠의 SA-14S1 SACD 플레이어를 사용했다.
처음의 시청곡은 엘렌 그리모가 연주한 바흐의 하프시코드와 현, 바소 콘티누오를 위한 협주곡 1번을 선택했다. 원래의 하프시코드 곡을 피아노로 연주한 것이라 전체 음의 균형이 잘 맞지 않을 거라는 생각이 들었던 곡인데, 녹음 기술의 혜택을 입어 새로운 곡으로 재창조된 곡이다. 방안 가득히 채우는 음의 균형은 저음역에서부터 고역에 이르기까지 음악성이 풍부한 음으로 조율되어 있다. 솔리드스테이트 앰프에서 느끼기 쉬운 건조한 음의 재생이 아니라 음 하나 하나에 생기가 넘치는 듯한 울림을 보여준다. 저음역의 울림은 과장된 구석이 없이 정갈하게 절제된 모양을 하고 있다. 뒤이어 주디스 닐란드가 부른 애프터를 듣는다. 네덜란드의 재즈 싱어로 오디오 테스트 레코딩에 자주 등장하는 가수이다. 고품위의 디지털 음원으로 녹음된 이 곡은 중음역의 농밀함은 물론이고 미세한 고음역의 신호까지 담아두고 있어 재생 공간의 사실감을 선명하게 부각시켜 주고 있었다.
스피커 시스템을 바꾸어도 앰프에서 재생되는 음의 느낌은 변하지 않는다. 정갈하고 음악성이 풍부한 사운드의 음이 울려나온다. 스피커 시스템을 완전히 장악하는 힘은 느낄 수가 없었지만 시간이 경과할수록 재생 공간을 채우는 음의 밀도가 높아져 있음을 감지하게 된다. 배경의 소음이 완전히 제거된 듯한 정숙감은 미세한 악기음의 표현에 있어서 절대적인 것인데, 아주르 851A에서는 이러한 부분에 많은 공을 들인 것 같은 느낌이다.
수입원 사운드솔루션 (02)2168-4525
가격 192만원 실효 출력 120W(8Ω), 200W(4Ω) 주파수 응답 10Hz-50kHz(±1dB) S/N비 93dB 이상
THD 0.001% 이하(1kHz) 댐핑 팩터 110 이상 크기(WHD) 43×11.5×38.5cm 무게 15k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