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관계부처, '농공단지 활성화 방안' 본격 수립
농공단지, 지역 균형발전과 국가 경제성장 일익 경쟁력 지속 저하... 새로운 전략 마련 위한 전수 실태조사 농공단지 활력 회복 및 미래 산단 전환 위한 '활성화 방안' 마련 스마트팜 등 신산업 입주 확대, 농공단지 면적 상한 요건 완화
2021-07-23 김정수 기자
정부는 지난 22일, 국무총리가 주재한 현안조정점검회의를 통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농공단지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농공단지는 1984년 처음 조성된 이후 농어촌 산업 발전의 핵심 인프라로 지역 균형발전과 국가 경제성장의 일익을 담당했으나, 최근 20년이 넘는 노후단지 증가, 농어촌 인구 유출, 낙후지역 위치 등으로 경쟁력이 지속 저하되고 있어, 지역 균형발전 달성과 농공단지 활력 회복 등을 위한 새로운 전략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산업부는 농공단지 활성화 방안 수립을 위해 3개월간(’21.1~3월) 14개 광역시·도, 123개 시·군·구, 운영 중인 450개 농공단지, 입주기업 7,679개社를 대상으로 전수 실태조사를 실시했다.
이를 통해 정부는 농공단지가 ‘지역 산업과 문화 공간’으로 탈바꿈 할 수 있도록 농공단지의 활력 회복과 미래 산단으로의 전환을 지원하기 위한 활성화 방안을 마련했다.
이번 활성화 방안 주요 내용은 ㅇ지역과 단지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지원, ㅇ농공단지 입주기업에 대한 지원 확대, ㅇ제도 개선과 지원시스템 강화를 추진하는 것 등이다.
산업부 장관은 “최근 지역균형 발전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는 상황에서, 농어촌 등 낙후 지역에 구축되어 있는 농공단지를 적극 활용한다면 지역 균형발전 정책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을 것이다. 지난 10여년간 중앙부처 정책에서 소외되었던 농공단지에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중앙부처들이 협업하여 이번 활성화 방안을 수립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