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하절기 산행' 안전 유의 권고
체력에 적절한 산행과 지정 등산로 이용 권장 "간절기 등산수칙 철저히 준수"
행정안전부는 6월 산행과 관련, 산에 수풀이 우거지고 한낮 기온이 높아지면서 안전사고 발생에 각별한 주의를 권고했다.
최근 5년(‘15~’19년)간 발생한 등산사고는 총 34,671건이며, 25,770명(사망601명, 실종285명, 부상24,884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사고의 원인으로는 발을 헛디뎌 발생하는 실족과 추락이 33.7%(총 34,671건 중 11,690건)로 가장 많았고, 조난 19.8%(6,855건), 안전수칙 불이행 17.0%(5,908건), 개인질환 11.1%(3,855건)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6월은 다른 때보다 등산사고 발생이 많지는 않지만, 사망자는 65명으로 10월(66명, 단풍 절정기) 다음으로 많이 발생하고 있어 산행 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계절이 봄에서 여름으로 변하는 시기에 산행을 나설 때는 ○ 산행 전에 가고자 하는 곳의 날씨와 등산 경로를 미리 파악하고, 특히 코로나19로 나홀로 산행을 계획하는 이들은 반드시 주변에 행선지를 알리고 출발 ○ 산행은 지정된 등산로를 이용하고 길을 잘못 들었을 때는 왔던 길을 따라 아는 곳까지 되돌아간 후 등산하거나 하산 ○ 일행이 있을 때는 체력이 약한 사람을 기준으로 산행하고, 음식을 먹거나 할 때는 거리두기 등 방역수칙 준수 ○ 국립공원에서 길을 잃거나 위급상황이 발생했을 때는 ‘국립공원 산행정보’ 앱을 미리 설치하여 구조를 요청하거나, 등산로에 있는 다목적 위치표지판을 활용해 신고 ○ 한낮 기온이 크게 오르는 시기에는 일사병 등 온열질환 발생에 주의 ○ 더운 날씨에 땀을 많이 흘리면 평소보다 빨리 지치고 몸에 무리를 줘 탈진 등 사고로 이어지기 쉬우므로 한낮의 뜨거운 햇볕 아래에서는 모자를 쓰고 그늘에서 쉬어가는 여유를 가지는 등의 수칙을 지켜야한다.
행안부 예방안전정책관은 “최근 한낮 기온이 30℃ 가까이 오르는 더운 날씨를 보이고 있는데, 산행 등 야외활동 시에는 수분 보충에 유의하고, 어지럽거나 두통 등 몸에 이상이 오면 바로 하산해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