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nic M-3000 MKⅡ
상태바
Allnic M-3000 MKⅡ
  • 김편
  • 승인 2016.09.01 00:00
  • 2016년 9월호 (530호)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세상 모든 스피커를 위한 중무장 기병의 탄생

 

올닉의 모노블록 파워 앰프 M-3000 MK2를 처음 본 순간, 필자는 나지막이 탄성부터 질렀다.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 침니 안에 자리 잡은 출력관 KT150이 무려 4발, 각각의 전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황홀한 자태의 커런트 미터가 역시 4개, 여기에 올닉의 자랑인 튼실한 전원 트랜스와 퍼멀로이 출력 트랜스가 ‘맏형들’처럼 후면에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그것도 한 채널에 한 블록씩, 위풍당당한 모노블록의 구성! 저절로 파워와 스피드를 갖춘 중무장 기병(Armored Cavalry)의 이미지가 그려졌다. 그리고 청음을 시작했다. 파라 푸시풀 구성의 모노블록 파워 앰프가 뿜어내는 200W 출력의 세계는 대단했다. 그 세계에 빠져들수록 M-3000 MK2는 점점 전장을 늠름하게 누비는 중무장 기병을 빼닮아 갔다.

騎兵   기병
빠른 스피드와 기세로 전장을 누비다

잘 알려진 대로 말을 탄 기병의 출현은 전쟁에서 승리의 공식을 바꿔버렸다. 스피드 덕분만이 아니다. 3m를 훌쩍 넘는 높이가 주는 기병의 시각적 위압감은 싸우기 전부터 상대의 간담을 서늘케 하기에 충분했다. M-3000 MK2의 이러한 기병 이미지는 출력 트랜스(스피드), 전원부(근지구력), 외관(시각적 기세)의 합작품이다.

출력 트랜스 → 올닉의 모든 출력 트랜스는 니켈과 철의 합금인 퍼멀로이(Permalloy) 트랜스다. 니켈은 모든 물질 중에서 자석에 제일 민감하게 반응한다. 초투자율(Initial Magnetic Permeability)이 매우 높다. 이러한 니켈의 스피드 때문에 음악을 정확히 표현할 수 있다. 한마디로 음악 신호에 대한 응답 속도가 철심을 사용한 다른 트랜스에 비해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빠르다.

전원부 → 전원부가 충실하지 못하면 애초에 사상누각이다. 그중에서도 진공관 플레이트에 공급되는 B 전원이 중요하다. 만약 음악 신호에 따라 이 B 전원의 전압이 마구 흔들린다면? 한마디로 ‘재앙’이다. M-3000 MK2에는 전압 변동률이 1%에 불과한 전원 트랜스가 투입됐다. 이에 따라 전원 트랜스의 크기와 무게가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엄청나다. 이 전원 트랜스의 품질에 따라 저역의 품질이 결정된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M-3000 MK2는 초저역까지 뿜어줄 준비를 완벽히 끝낸 것이다. 대개의 전원 트랜스 전압 변동률이 10%인 것을 감안하면 그야말로 세계 최고 수준이다. 초크 트랜스도 빼놓을 수 없다. 교류를 직류로 바꿀 때 나오는 노이즈를 줄이는 역할을 저항 대신 초크 트랜스에 맡김으로써 전원 임피던스를 크게 낮췄다.

외관 → 이제는 올닉의 트레이드마크가 된 폴리카보네이트 침니와 상단 디자인은 전형적인 시크남 모습. 이에 비해 각 출력관의 전류 상태를 점검 및 보정할 수 있는 커런트 미터는 잘 자란 귀족 청년의 모습이다. 외부에 돌출된 트랜스와 커패시터는 중세 고성의 이미지를 연상시킨다. 한편 M-3000은 MK2 버전이 되면서 트랜스를 업그레이드시킴과 동시에 섀시와 손잡이 디자인에도 변화를 줬다.

重武裝   중무장
화력과 갑옷, 그리고 싸우는 법을 알다

이런 기병이 중무장을 했다. 한 번에 수십 명을 벨 수 있는 청룡 언월도(200W 출력)를 2자루나 들었고(모노블록), 품에는 날카로운 비수까지 품었으며(3극관 모드 출력), 게다가 싸우는 법까지 안다(풀 인게이지먼트 출력 트랜스).

증폭부 1 → 앰프의 핵심은 역시 증폭부다. 우선 초단관에는 5극관인 6AK6(5654)을 투입했다. 원래 이 진공관은 전류 증폭률(gm)이 2.3mA/V로 극단적으로 낮아 프리앰프 신호 증폭용으로 즐겨 쓰인다. M-3000 MK2에서는 3극관 모드로 접속해 플레이트 저항까지 200㏀에서 10㏀ 수준으로 떨어뜨렸다. 진공관의 내부 저항이 낮을수록 더 많은 전류를 내보낼 수 있는 법이다. 저음의 충실도도 높아진다.

증폭부 2 → 파워 앰프의 품질은 이 드라이브관에서 결정 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출력관을 ‘먹여 살리는’ 게 바로 드라이브관이기 때문. 따라서 드라이브관은 플레이트 저항이 낮고 gm이 높을수록 좋다. M-3000 MK2에서는 5극관인 E282F를 역시 3극관 모드로 작동시켜 플레이트 저항을 800Ω으로 떨어뜨리고 플레이트 전류는 40mA로 늘렸다. 흔히 사용되는 12AU7이 47㏀에 2~3mA 전류를 보내줄 수밖에 없는 것에 비하면 엄청난 차이다.

증폭부 3 → KT150은 미세 신호 증폭 및 스피커의 확실한 제어를 위해 개발된 관이다. 일단 KT120보다 체구가 훨씬 크고, 계란 모양의 유리관을 통해 방열 기능을 향상시켰다. 유리관이 곡선으로만 이뤄져 평평한 면이 없다는 것은 그만큼 마이크로포닉 문제에서도 자유롭다는 얘기다. 1개당 플레이트 손실이 70W를 기록, 현존하는 5극 빔관 중 최대 파워를 자랑한다. 흥미로운 점은 (뒤에 청음 노트에서 자세히 기술하겠지만) 이 출력관을 5극관 모드와 3극관 모드로 손쉽게 바꿔 감상할 수 있다는 점. 그 차이가 생각보다 컸다.

출력 트랜스 1 → 확실히 올닉 앰프에서는 이 출력 트랜스가 ‘열일’을 한다. 퍼멀로이 트랜스의 높은 초투자율 덕분에 뛰어난 댐핑력까지 확보됐기 때문이다. 또한 코일을 적게 감아도 L값(전자력을 형성하는 능력)이 높게 나오기 때문에 음악 신호를 상대적으로 왜곡 없이 전달할 수 있다.

출력 트랜스 2 → 보통의 출력 트랜스는 2차 코일에서
0Ω, 4Ω, 8Ω, 16Ω 탭을 2개씩 쌍으로 묶어 스피커 임피던스에 대응한다. 즉, 8Ω 스피커라면 0Ω과 8Ω 탭만 일을 하고 나머지 두 탭은 쉰다. 그런데 올닉 출력 트랜스는 4개의 탭이 모두 달려들어 8Ω에 대응한다. 일은 안 하고 공간만 차지하는 코일이 없기 때문에 그만큼 효율이 좋아진다. 뿐만 아니다. 사실 쉬고 있는 2차 코일은 그냥 쉬는 게 아니다. 자체 진동에 의해 쓸데없는 ‘신호’를 발생시켜 원 음악 신호를 왜곡시킨다. 올닉이 풀 인게이지먼트(Full Engagement)라고 이름 붙인 이 출력 트랜스 권선 방식은 이러한 왜곡을 근본적으로 차단시킨다.

청음

프리앰프는 올닉의 최상위 프리앰프인 L-5000 DHT, 스피커는 B&W 802 다이아몬드를 물렸다. 오포 105D로 타이달을 플레이시킨 뒤, 이를 올닉의 최상위 DAC인 D-5000 DHT를 통해 아날로그로 변환시켰다.

구동력, 대역 밸런스 → 스피커로부터 각 대역의 소리를 정확히 끄집어내는 실력이 대단하다. 안드리스 넬슨스 지휘,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 연주의 쇼스타코비치 5번 교향곡 4악장은 다이내믹 레인지가 넓은 곡인데, 이를 전혀 힘 안 들이고 소화해낸다. 특히 저음 파트에서의 펀치력은 소름이 끼칠 정도. 역시 파워 앰프가 이 정도 레벨이면 구동력이나 대역 밸런스를 체크하는 것은 부질없다.

정숙도, 표현력 → 이날 들은 거의 모든 곡에서 감탄했던 것은 파워 앰프를 정점으로 한 이번 시스템의 놀라운 정숙도다. 카를라 브루니의 ‘J'arrive A Toi’나 나탈리 슈츠만의 겨울나그네에서는 여성 보컬의 입술 부딪히는 파열음이 낱낱이 포착되고, 터틀 크릭 남성합창단이 부른 루터의 레퀴엠에서는 느닷없이 등장한 파이프 오르간의 울림이 환영처럼 들린다. 물론 프리앰프와 스피커의 능력이 받쳐줘야 하지만, 파워 앰프의 웬만한 SNR(신호대 잡음비) 갖고는 도저히 불가능한 일이다.

스피드, 리듬 & 페이스 → 조 로바노 쿼텟의 <Classic Live At Newport> 앨범 중 ‘Big Ben’은 드럼과 베이스가 전해주는 리듬 & 페이스에 절로 흥겨워진다. 파르티타 2번에서는 밀스타인의 보잉 속도에 따라 천변 만변하는 곡의 표정이 실시간으로 읽힌다. 역시 올닉 앰프의 스피드는 전혀 진공관스럽지 않다.

사운드 스테이지, 공기감 →  2개의 스피커가 빚어내는 가장 큰 매직이라면 드넓고 깊은 사운드 스테이지일 것이다. 루터의 레퀴엠은 남성 합창단과 여성 솔로의 위치를 청음실에 정확히 흩뿌리고, ‘Big Ben’은 추임새를 넣는 관객들로 시끌벅적해진 라이브 현장을 생생히 전해준다.

3극 접속의 전혀 다른 맛

지금까지가 출력관을 5극관 모드로 들었을 때였다. 전면 스위치를 눌러 3극관 모드로 바꾸자 모든 게 급변했다. 다시 루터의 레퀴엠을 들어보니 한결 단정해졌고 듣는 맛이 깊어졌다. 겨울나그네에서는 탄식이 흘러나왔다. ‘이 곡은 처음부터 이 모드로 들었어야 했어!’ 무대는 한층 가라앉았고 음의 밀도는 더 강해졌다. 단조가 더 단조다워진 그런 느낌? 달뜬 호기심에 예정에 없이 청음이 길어졌다. 스코틀랜드 쳄버 오케스트라가 연주한 모차르트 교향곡 29번은 평소보다 색채감이 눈에 띄게 좋아진다. 아델의 ‘Hello’에서는 아예 그녀가 청음실로 내려오는 기척마저 느껴진다. 이 곡이 이렇게 녹음이 잘 된 곡이었나, 감탄이 끊이질 않는다. KT150에 이런 면이 숨어 있었던가.

결론

채널당 4발의 진공관이 뿜어내는 200W 출력은 상상 이상이었다. B&W 802 다이아몬드를 정신 바싹 차리게 한 그 놀라운 파워 때문만은 아니었다. 직열 DAC와 프리앰프가 섬세하게 펼쳐놓은 갖가지 음의 윤곽을 진하게 색칠해주는 표현력, 천변 만변하는 음악 신호를 재빠르게 포착해 찰나의 순간까지 전해주는 스피드, 매크로부터 마이크로까지 모든 다이내믹스를 처리할 수 있는 넉넉한 체력. 그러면서 언제든 3극관 ‘검객’으로 변신해 또 한 번 세상을 놀래겠다는 5극관 ‘중무장 기병’의 두 얼굴. 올닉이 진정 세상 모든 스피커, 세상 모든 오디오 애호가와 음악 애호가를 위한 파워 앰프를 탄생시켰다.

P.S.
이 모노블록 파워 앰프는 요즈음의 대형 스피커들과 매칭을 하면 정말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B&W 802 다이아몬드를 지금껏 여기저기에서 들어 보았지만 완전히 다른 스피커로 만들어버린 대출력 진공관 앰프의 진수를 맛보았기에 윌슨 오디오의 샤샤나 알렉산드리아, 다인오디오의 C4나 에비던스 시리즈, 매지코의 S3나 S5 등과 매칭해 음악 감상을 하면 얼마나 좋을까 상상을 해보았다(이 원고를 작성 중에 매지코 S5 MK2를 사용하는 애호가가 TR 앰프에서 본 M-3000 MK2로 바꾸고 대만족했다는 이야기를 듣게 되었던 바, 필자는 너무나 수긍이 가서 저절로 고개가 끄덕여졌다).

총판 오디오멘토스 (031)716-3311
가격 총판 문의   사용 진공관 KT150×4, E282F×2, 6AK6×1   실효 출력 200W(8Ω)
주파수 응답 20hz-20kHz   S/N비 -80dB   디스토션 0.17%   댐핑 팩터 8   게인 +26dB
입력 임피던스 100㏀   입력 감도 2V   크기(WHD) 43×24×43cm    무게 42kg

530 표지이미지
월간 오디오 (2016년 9월호 - 530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