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cuve 3
상태바
Accuve 3
  • 이종학(Johnny Lee)
  • 승인 2014.09.01 00:00
  • 2014년 9월호 (506호)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새로운 기술, 새로운 디자인, 새로운 음향

얀센 연주의 멘델스존 바이올린 협주곡을 들으면 본 기의 장점이 유감없이 드러난다. 일단 스피커 뒤 공간에 우아하게 펼쳐지는 오케스트라의 음장이 감동적이고, 그 앞에서 부유하는 바이올린은, 마치 요 앞에 연주자가 서 있는 듯하다. 디테일과 뉘앙스가 풍부하며 또 감촉도 좋다.

시청실에 들어섰더니 낯익은 포름의 제품이 놓여 있었다. 작은 병풍과 같은 모습. 혹은 일본 목조 주택에서 볼 수 있는 미닫이와 같기도 하다. 물론 나는 여러 차례 국내의 오디오 쇼에서 이 제품을 목격하고 들은 바가 있어서 낯설지 않다. 또 개인적으로 이런 형태의 스피커를 좋아하기도 해서, 약간의 설렘을 느끼기도 했다.
그런데 스피커 앞의 공간에 안으로 푹 꺼진 목재 의자가 하나 놓여 있었다. 앉으면 뒤로 몸이 젖혀져 자연스럽게 머리를 등받이에 누이는 구조다. 왜 이런 게 있나 싶었는데, 메이커에서 본 기를 듣기 위해 꼭 필요한 의자라고 일부러 가져왔다고 한다. 과연….
해외의 오디오 쇼에 다니다 보면, 역으로 우리의 오디오 취향이 극도로 한정적이라는 느낌을 자주 받는다. 마치 김치와 된장찌개가 없으면 식사가 아니라는 편협한 입맛과 다르지 않다. 덕분에 액티브나 평판형, 리본 트위터, 무지향, 정전형 등 전통적인 박스형 스피커가 아닌 포름은 줄줄이 퇴짜를 맞는다. 아예 거들떠보지도 않는다. 그러나 스피커 업계의 현황을 보면 이런 제품들이 적지 않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우리의 고집스런 선입견에 뭔가 문제가 있지 않을까?
물론 이런 정전형이 갖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기는 하다. 아무래도 박스형보다 저역의 양감이 부족하고, 직진성이 떨어지는 느낌을 지울 수는 없다. 하지만 이런 형태의 스피커가 가진 장점이 한둘이 아니므로, 이번 기회에 조금은 선입견을 지울 필요도 있을 듯하다.

여기서 잠깐 한 가지 짚고 넘어갈 게 있다. 바로 정전형과 평판형의 차이인데, 쉽게 말해 스피커에 통전을 시켜주냐 혹은 그렇지 않냐로 결정된다. 전자의 대표는 쿼드, 마틴 로건 등이고, 후자로는 마그네판, 아포지 등이 꼽힌다. 아큐브는 전자에 속한다.
정전형에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진동판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다. 얇으면서 내구성이 좋아 작은 신호와 큰 신호의 재현에 무리가 없다. 여기에 특수 코팅을 해서, 메이커 나름의 음색이 나오는 모양이다.
그런데 이런 재질의 가장 큰 문제는, 이른바 지면 효과에 있다. 이것을 쉽게 이야기하면, 한 번 헬리콥터가 이착륙하는 과정을 상상하자. 멀리 하늘에 떠 있을 때엔 상관이 없지만, 이착륙 시에는 헬기와 지면 사이에 강한 돌풍이 발생한다. 그래서 영화에 보면, 헬기를 탈 때 머리를 바싹 숙이고, 모자 같은 것은 꽉 움켜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정전형에서 이 지면 효과가 왜 발생하고 또 왜 문제가 될까? 문제는 저역에 있다. 아무래도 진동판이 떨릴 때 저역은 진폭이 큰 만큼, 그게 전극에 가까이 가게 된다. 그 경우 공기압이 생기면서, 저역을 제어하는 진동판의 움직임에 제한을 준다. 이 부분에서 동사는 획기적인 기술을 발명한 바, 이른바 통기성이 좋은 진동판의 개발이다. 이를 위해 동원한 것이 바로 한지다.
이렇게 쓰면, 아니 무슨 한지로 스피커를 만든다는 것인가, 의아할 분이 한둘이 아닐 것이다. 물론 한지만 갖고 진동판을 만들 수는 없다. 여기에 여러 물질을 첨가해서, 진동판으로 작용하는 데에 무리가 없게 한 것이다. 이것은 페이퍼 콘을 연상해도 좋을 것이다. 주요 재질은 종이지만, 거기에 여러 물질을 혼합해서 만든 것으로, 아큐브 역시 비슷한 개념의 진동판이라 보면 된다.
단, 그 제조 과정이 지난하다. 처음부터 끝까지 공정을 처리한다고 볼 때 대략 3개월 정도가 소요된다. 무엇보다 일일이 손으로 만드는 것부터 어렵기 짝이 없고, 이를 진동판에 적합한지 아닌지 판정해야 하며, 페어 매칭은 필수. 왜 이런 고생을 사서 할까? 바로 음질 때문이다.

본 기의 시청을 위해 트라이곤의 다이얼로그 프리와 모노로그 파워 앰프가 동원되었다. 첫 곡으로 들은 얀센 연주의 멘델스존 바이올린 협주곡을 들으면 본 기의 장점이 유감없이 드러난다. 일단 스피커 뒤 공간에 우아하게 펼쳐지는 오케스트라의 음장이 감동적이고, 그 앞에서 부유하는 바이올린은, 마치 요 앞에 연주자가 서 있는 듯하다. 디테일과 뉘앙스가 풍부하며 또 감촉도 좋다. 특히, 이런 음장형 스피커들이 흔히 저지르기 쉬운, 마치 외야석에서 야구를 보는 듯, 그냥 멀찍이 떨어진 음장의 묘사에 그치지 않는다. 주역이 되는 악기는 강력하게 튀어나와 이쪽을 움찔하게 만든다. 그 점에 꽤 놀랐다.
이어서 정명훈 지휘, 베를리오즈의 환상 교향곡을 들어본다. 무척 복잡하고, 현란한 녹음이지만, 스피드를 충분히 쫓아가면서, 각종 악기들을 낱낱이 분해한다. 과연 이런 부분에선 인클로저라는 지긋지긋한 멍에를 훌훌 벗어버린 효과가 드러난다. 특히, 강음과 약음의 빼어난 대비는 극적인 효과가 좋아서 꽤 만족스럽다.
마지막으로 조수미의 ‘도나 도나’. 마치 천사가 강림하듯 은은하게 부르는 노래 소리가 귀를 편하게 하고, 통울림이 수반된 나일론 기타의 부드러운 질감이나 환각적인 클라리넷의 존재가 우아하게 다가온다. 확실히 럭셔리하고, 깔끔하며, 단정하다. 특히, 현과 보컬에서 본 기가 내는 음에 중독이 되면, 박스형으로 돌아가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 

제조원 Accuve (050)2000-9119
가격 880만원  사용유닛 89×24cm 퓨어 풀레인지 ESL  재생주파수대역 45Hz-20kHz  임피던스 8Ω
출력음압레벨 83dB/2.83V/m  권장 앰프 출력 100-350W  크기(WH) 35.6×114.9cm

506 표지이미지
월간 오디오 (2014년 9월호 - 506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