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po PM-1
상태바
Oppo PM-1
  • 양정남
  • 승인 2014.07.01 00:00
  • 2014년 7월호 (504호)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가장 자연스러운 진짜 무대에 빠져들다

필자는 헤드폰으로 음악 모니터하는 것을 매우 신뢰하는 편이다. 스피커에 비해 연결된 기기나 설치된 룸 특성 등 주변 상황의 영향을 덜 받는 편이기 때문이다. 좋은 성능의 스피커라 할지라도 열악한 환경에서 듣는 바엔 차라리 제대로 된 헤드폰으로 듣는 것이 훨씬 깔끔하고 정확하게 음악을 파악할 수 있다. 음반의 레코딩이나 믹싱 작업 중 악기의 톤이나 밸런스 체킹의 경우 역시 마찬가지로 스피커보다 헤드폰 사용이 우선시 되곤 한다. 이런 이유 때문에 최근 출시되는 헤드폰 중 성능이 뛰어나다는 헤드폰은 늘 필자의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번 리뷰에 사용할 오포 PM-1 역시 올해 미국 라스베가스 CES 전시회 출품부터 눈독을 들이고 있던 제품 중 하나이다.
올라운드 미디어 플레이어부터 스마트폰까지 이미 업계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오포가 이번에는 헤드폰 시장까지 넘보고 있다. 국내 수입된 BDP-105D를 사용해 보고서 이미 그 기술력과 사운드 튜닝 능력에 놀라움을 금치 못하고 있던 찰나 동사의 헤드폰 출시는 관심 그 자체였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플레이어 제품군에서 타사보다 앞서가는 기술력을 선보였던 회사이기 때문에 헤드폰에서는 어떤 면을 부각시켜 줄지 궁금증이 더해갔다. 오포 역시 이러한 고민을 오랫동안 해왔을 터. 세계적인 드라이버 유닛 개발자인 이고르 레비츠키 씨를 영입하게 되었다고 발표했다. 그는 평면 마그네틱 리본 트위터와 미드레인지 유닛을 주력으로 개발하는 BG 라디아 사의 핵심 엔지니어였다. 이고르 레비츠키의 투입은 일반적인 다이내믹형 유닛을 사용하지 않고 평면 마그네틱 유닛을 채용하여 타사와 차별성을 가지는 전략을 세운 것이라 볼 수 있다. 또한 타사의 기존 유닛을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자체 개발하여 기존보다 뛰어난 성능의 오포만의 유닛을 만들어 내겠다는 의지인 것이다. 이러한 계획의 내면에는 2가지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하나는 베이어다이내믹, AKG, 젠하이저 등 유명 헤드폰 회사와의 경쟁에서 무기를 가지는 것이다. 이 회사들의 제품은 대부분 무빙 코일 타입 유닛을 채용하고 있고, 오랜 시간 동안 사운드 튜닝의 노하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헤드폰의 음색에 있어서 신생 업체보다 비교 우위에 있다는 것은 소비자들도 잘 알고 있는 점이다. 하지만 이들 헤드폰의 음색이 좋다 하더라도 무빙 코일 타입 유닛이 가지고 있는 태생적 한계는 그대로 가지고 있게 된다. 보이스 코일 마그네틱이 콘지의 중앙에만 위치하고 있어 콘지 전체에 균등하게 힘이 전달되지 못해 가장자리로 갈수록 디스토션과 공진음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PM-1에서 사용된 평면 마그네틱 유닛은 이러한 약점을 가지고 있지 않다. 평면 마그네틱 유닛의 다이어프램은 얇은 전도성 금속 박막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금속 박막 위에는 전도체 물질이 특정한 패턴으로 올라가게 되고, 이 박막을 가운데 두고 마그네틱이 둘러싸고 있다. 전류가 이 다이어프램을 통해서 흐르게 되면 전도체는 자기장에 의해 진동하게 되고, 이로써 음악의 시그널이 청자에게 전달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다이어프램으로 전달되는 힘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미치게 되어 무빙코일 타입 유닛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이 해결됨과 동시에 주파수에 따른 반응 속도가 비교적 균등하게 유지되어 저역과 고역 특성에 매우 유리한 장점을 가진다.

두 번째는 오디지, 하이파이맨, 포스텍스 등 동일한 평면 마그네틱 유닛을 주력으로 사용하는 회사와의 경쟁일 것이다. PM-1의 자체 개발 드라이버 유닛에서는 이들 회사들이 가지고 있는 단점을 분석하여 해결점을 제시한 영리함이 돋보인다. 우선 기존의 평면 마그네틱 유닛은 성능과 음질을 위해서 상당히 큰 크기를 유지할 수밖에 없어, 착용감이 거추장스럽고 무거웠던 반면 PM-1은 395g으로 상당히 경량인데다 헤드폰의 크기가 크지 않다. 구성품으로 CD 케이스보다 조금 큰 사이즈의 휴대용 파우치를 넣어 놓은 것을 보면 이에 대한 자신감을 엿볼 수 있다. 실제로 사용해 보니 오랜 착용에도 피로감이 없었다. 다만 이어패드 안쪽 부분이 조금 좁아 귀가 큰 사람이 착용한다면 불편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기존 제품이 가지는 두 번째 문제점은 구조상 전력 소모량이 많아 헤드폰 앰프 없이는 구동이 힘들다는 것이다. 심지어 일본의 특정 회사 제품은 전용 앰프가 포함되어 있는 헤드폰도 존재하였다. PM-1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고성능 네오디뮴 마그네틱을 사용하여 입력 감도를 102dB까지 끌어 올렸다. 필자가 사용하고 있는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일반적인 헤드폰 출력은 물론이거니와 스마트폰에서도 충분한 볼륨으로 음악을 감상할 수 있었다. 스마트폰 연결은 구성물에 포함된 3.5mm 케이블로 연결할 수 있었는데, 길이가 1m인 것으로 미루어 보아 PM-1이 평면 마그네틱 헤드폰으로써 그 사용 범위의 확장을 포터블용까지 꾀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이러한 오포의 전략과 투자는 리뷰를 진행하는 내내 피부로 느껴졌다. 고급스런 목재 케이스에서 제품을 꺼내는 순간부터 곱게 실드된 OCC 케이블을 단자에 연결하고 착용 시 천연 라텍스 소재와 핸드 메이드 양가죽 소재의 이어패드와 헤어밴드가 닿는 모든 순간들에서 비단 외관뿐만 아니라 제품의 완성도 자체에 얼마나 공을 들였는지 체감할 수 있었다.
앰프의 영향을 받지 않은 헤드폰 그대로의 성능이 궁금하여 RME UFX, TC 임팩트 트윈 등 오디오 인터페이스 장비에 그대로 물려 사운드를 체크해 나갔다. 가장 먼저 체감되는 것은 유닛 타입에서 오는 사운드적 특징이다. 이는 드럼 사운드를 들었을 때 가장 잘 느껴지는데, 저음을 담당하는 킥 드럼과 베이스 기타의 조합이다. 어택이 강한 킥 드럼과 베이스 기타의 릴리즈의 반응이 빨라 타이밍이 흐트러지지 않고, 정확한 박자에 재생되어 마치 바로 눈앞에서 연주가 되고 있는 것 같은 착각이 든다. 또한 앰비언스의 잔향도 정확하고 매끈하게 표현되어 이질감 없이 연출된다. 이는 심포니 오케스트라 연주곡에서도 비슷한 특징을 보여주는데, 대편성의 악기들이 전 대역에서 뒤섞임 없이 표현되며 마찬가지로 반응과 밸런스가 아주 좋아 외부 스피커로 듣고 있는 것 같은 편안함이 느껴졌다. 음색 역시 이에 걸맞게 잘 튜닝되어 있었다. 리본 트위터 스피커의 그것처럼 고역의 직진성과 시원함이 강조된 헤드폰일 것이라 예상했었는데, PM-1은 초고역대 재생 능력을 뽐내기보다는 어느 한 부분 도드라짐 없이 평탄함을 추구한 헤드폰임을 금방 눈치 챌 수 있었다.
처음 출시되는 헤드폰이지만 다방면에서 오포의 치밀한 준비와 노력이 엿보이는 PM-1. 구매 포인트를 찾기 힘든 하이엔드 헤드폰 시장에서 강력히 추천하고 싶은 제대로 된 헤드폰임에 틀림없다.

504 표지이미지
월간 오디오 (2014년 7월호 - 504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